SMALL
DV(Distance Vector)
DV는 경로를 결정할 때 통과해야 하는 라우터의 수가 적은 쪽으로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Link State
Link State는 네트워크 대역폭, 지연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Cost를 산정하고 해당 Link의 Cost에 따라 경로를 결정 하는 방법
DV와 Link State 비교
구분 |
DV |
Link State |
알고리즘 |
벨만 포드 |
다익스트라 |
동작 원리 |
네트워크 변화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인접한 라우터에 정기적으로 전달 하고, 인접 라우터에서는 라우팅 테이블에 정보갱신 |
라우터와 라우터를 연결하는 Link 상태에 따라 최적의 경로 설정 |
정보 전송 시점 |
일정 주기 |
변화 발생 시 |
프로토콜 |
RIP,IGRP,EIGRP |
OSPF |
단점 |
변화되는 라우팅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주기적으로 갱신하므로 망 자체의 트래픽을 유발 |
네트워크 전체 정보 유지를 위한 많은 메모리 소요 |
요약
이 둘의 차이점은 벨만 포드는 음의 가중치를 처리할 수 있고, 다익스트라는 음의 가중치를 처리하지 못하는 부분에서 이해를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LIST
'전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설정 (0) | 2020.06.30 |
---|---|
Well Known Port (0) | 2018.07.12 |
슬라이딩 윈도우 (0) | 2018.07.04 |
BEC 기법 (0) | 2018.07.04 |
베이스밴드(Baseband)와 브로드밴드(Broadband) (0) | 2018.07.01 |